Interview tips

캐치테이블의 인터뷰는 단순한 경험 나열을 넘어서,

‘어떤 문제를 어떻게 정의하고 해결했는가’에 대한 깊이 있는 대화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.


이 과정은 지원자와 저희가 서로 잘 맞는지를 알아가는 자리이기도 합니다.

저희도 캐치테이블의 현재와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솔직하고 진정성 있게 이야기드릴 예정입니다.
지원자분도 편안한 마음으로, 본인의 생각과 경험을 진솔하게 들려주시면 좋겠습니다.


인터뷰에 준비에 도움이 될 수 있도록 몇 가지 준비 팁도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!

리더십 원칙

캐치테이블은 '우리 ≠ 고객’이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봅니다.
우리는 고객의 불편을 한 발 앞서 해결하고,
내부 편의보다 장기적인 신뢰를 우선합니다.


인터뷰에서는 이런 리더십 원칙을 어떤 경험 속에서 어떻게 실천했는지를 듣고자 합니다.


 캐치테이블의 리더십 원칙 전체 보기↗ 

정량적 데이터

우리는 “잘했다”, “크게 기여했다”와 같은 형용사 중심의 표현보다는구체적인 수치와 실행 맥락을 통해 지원자의 사고 방식과 실행력을 파악합니다.

가능하다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경험을 설명해 주세요.


❌ 이렇게 말하기

“서비스 반응이 좋았어요” 

✅ 이렇게 바꿔 말해보세요

"출시 1주일 만데 이탈률이 15% 감소했고, 

앱 리뷰 평점이 4.2 -> 4.6으로 상승했습니다."


이처럼,

  • 정량적 수치(%, 수치, 횟수 등)

  • 맥락(배경, 문제 상황, 리소스 조건 등)

  • 구체적 행동(내가 무엇을, 어떻게 했는가)

을 함께 표현해주시면, 지원자의 사고력과 실행력이 더 잘 드러납니다.

S.T.A.R 기법

우리는 ‘잘한 일’보다 '어떻게 했는지'와 그 과정에서의 선택과 사고방식을 중요하게 여깁니다. 

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직접 경험한 내용을 정리하여 답변을 주시면 좋습니다.


  • (Situation): 어떤 상황이었나요?

  • T (Task): 어떤 역할과 목표가 있었나요?

  • A (Action): 구체적으로 무엇을 했나요?

  • R (Result): 그 결과는 어땠고, 무엇을 배웠나요?

  • sns-icons
  • sns-icons
  • sns-icons
made with Greeting